제목: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시니어 소비자의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 형성 요인 연구
요약:
시니어 세대의 디지털 포용이라는 관점에서 이들의 디지털 소비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디지털 소비여건에 대한 신뢰 관리가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디지털 환경에 대한 소비 연구는 온라인 소비를 주도해가는 주 소비자 계층인 밀레니얼 세대나 Z세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 소비자가 인식하는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선행변수들 간의 작용이 디지털 신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니어의 시장세분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세분시장별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소비자원에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그 중 60대 이상의 소비자 17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니어 세대의 디지털 소비신뢰에 영향을 끼치는 선행요인으로는 소비자 역량, 기업책임인식, 소비자 문제해결 창구 인식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시니어 소비자의 시장세분화를 실시한 결과 기업 책임신뢰 부정 집단, 소비자 역량 부정 집단, 문제해결 인식 부정 집단, 긍정인식 집단의 4개 세분시장으로 분류되었다. 각 세분시장별로 인식하는 디지털 신뢰를 분석한 결과 긍정인식 집단이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시니어 소비자는 자신의 소비 역량과 기업 책임에 대한 인식, 그리고 지역 사회의 문제해결 창구에 대한 인식이 모두 높을 때 디지털 소비여건에 대한 신뢰를 높게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대는 온라인 소비나 디지털 소비 여건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다른 수준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세대를 구분하여 시니어 소비자 계층의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살펴본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의가 있다. 또한 시니어 세대가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소비여건이 마련되기 위해서는 소비자, 기업, 지역 공공기관 모두의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되도록 관리되어야 함을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sumption in senior 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trust in the digital consumption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from previous researches on consump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at has mainly focused on Millennial and Z gener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digital consumption trust and to explore the market segments of senior generation created by the dynamics of these antecedents.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ceived digital consumption trust using segmentation. This study, therefore, used 2021 Korea’s consumer life index data conduct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for general consumers, and only consumer data of 60s and older are extract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we confirm from the main results that the three antecedents, consumer competency, perceived corporate responsibility, and local community’s problem-solving environment, are significant in building the digital consumption trust in the senior generation. It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is aspect to look at approaches to improve senior customers’ trust in digital consumption circumstances by dividing generations because generations exhibit varying levels of understanding of online consumption or digital consumption conditions. It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is aspect to look at approaches to improve senior customers’ trust in digital consumption circumstances by dividing generations because generations exhibit varying levels of understanding of online consumption or digital consumption conditions. Additionally, it is proposed as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it should be managed so that significant improvements of customers, businesses, and regional public institutions are developed in order to allow the senior consumers to prepare trusted digital consumption circumstances.
주제어: 시니어 소비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 지식경영, 소비자 행동, Senior consumers,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consumption trust, Knowledge management, Consumer behavior
출처: 전미나, 김미예, & 한정수. (202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시니어 소비자의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 형성 요인 연구. 지식경영연구, 23(4), 9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