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미세먼지 위험 인식이 정보 유용성과 정책 선호에 미치는 영향: SOR 모형의 적용
요약:
본 연구는 미세먼지에 대한 시민들의 대처 행동을 높이기 위해 관련된 정책이나 정보 태도를 결정하는 심리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SOR 프레임워크는 오프라인 환경 자극뿐만 아니라 온라인환경 자극에 대해서도 발생하며 직접적인 관련된 행동에 대한 의도나 태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 평가가 위험과 관련된 대표적인 정서 반응인 불안과 분노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변화가 관련된 예방 및 저감 정책과 앱 정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미세먼지 위험 인식은 불안과 분노 그리고 관여도를 높였다. 또한 불안은 예방, 저감 정책과 앱 정보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분노는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미세먼지에 대한 사람들의 대처 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여도와 불안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제어: 미세먼지, SOR 프레임워크, 불안, 분노, 정책, 정보 유용성
출처: 노환호, 이병관, & 임혜빈. (2024). 미세먼지 위험 인식이 정보 유용성과 정책 선호에 미치는 영향: SOR 모형의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4(1), 294-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