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형 생성 인공지능 리터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orean Generative AI Literacy Scale
요약:
리터러시는 작성된 문서나 가공된 정보를 사람들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정보를 접하고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넓어짐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로 확장되었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활용 분야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시대에 그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생성 인공지능을 대상으로 이용자의 리터러시 수준을 확인하고,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리터러시의 개념을 확장하며, 한국 이용자에게 적합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했다. 먼저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생성 인공지능 리터러시는 AI활용 능력, 비판적 평가, 윤리적 사용, 창의적 활용의 네 가지 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생성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인의 모형 구조가 통계적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더불어 기존 인공지능 리터러시 척도와 인공지능 서비스 관련 평가 도구와의 상관 분석을 통해 새로 개발된 리터러시 도구가 실제 사람들의 태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타당성이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했다.
Literacy initially referred to the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written documents and processed information. With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scope of literacy expanded to include the access and use of digital information, evolving into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The application and purpose of digital literacy vary across different fields, leading to the use of various terminologies. This study focuses o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which is gaining increasing importance in the AI era, to assess users’ literacy levels. The research aimed to extend the concept of literacy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and develop a tool suitable for Korean use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identified that generative AI literacy consists of four factors: AI utilization ability, critical evaluation, ethical use, and creative application. Subsequent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alidated the statistical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structure composed of these four factors.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the newly developed literacy tool and existing AI literacy scales and AI service evaluation tools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s,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tool.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주제어: 생성 인공지능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 타당성 평가, 윤리, 정보기술활용, Generative AI literacy,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Validity assessment, Ethics,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출처: 노환호, 김현정, & 김민진. (2024). 한국형 생성 인공지능 리터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지식경영연구, 25(3), 145-171.